
1) 퍼스널 브랜딩 인사이트
1. 퍼스널 브랜드는 문제 해결자로 인식되는가가 핵심이다 — 당신이 “무엇을 해준다”라는 명확한 역할을 전달할 때 브랜드는 단순한 자기표현을 넘어 실존적 가치를 갖는다.
2. 콘텐츠 중심의 마케팅에서 스토리 텔링보다 스토리 프레임이 중요해졌다 — 단일 이야기보다 그 이야기를 반복 가능하게 만드는 구조(프레임)를 설계하면 여러 채널에서 통일감 있는 브랜드 경험을 만든다.
3. 브랜드 확장을 고민할 때는 현재의 핵심가치 → 확장가능성 순서로 설계해야 한다 — 중심가치가 흔들리면 확장은 곧 신뢰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4.창작자 경제가 단순히 콘텐츠 소비를 넘어 비즈니스화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창작자가 직접 팬과 연결되고 수익화 모델을 다양화하는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5. 리뷰 신뢰도가 하락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리뷰 활용이 브랜드 신뢰 형성에 결정적이지만 동시에 리뷰 조작·허위 리뷰에 대한 경계가 높아지고 있다.
2) 오늘의 책
Wealthy and Well‑Known: Build Your Personal Brand to Convert Influence into Income / Rory Vaden · AJ Vaden / Simon & Schuster / 2025
이 책은 개인 브랜드가 단지 ‘보이는’ 존재를 넘어서 수익을 창출하는 영향력 있는 자산(influence → income)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차별점은 ‘미션 중심 메신저(Mission‑Driven Messenger)’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단순히 팔로워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미션과 브랜드 메시지로 수익화 가능한 구독·팬덤·지식모델을 설계하도록 안내한다.
실무 적용 포인트는 (1) 브랜드의 핵심 미션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고, (2) 그 미션을 중심으로 콘텐츠·서비스·상품 흐름을 설계하며, (3) 수익 구조를 브랜드 표준화된 ‘브랜드화된 상품 라이프사이클’로 구축하는 것이다. 한국어판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3) 오늘의 ‘하루하나 브랜딩’ 프롬프트
“오늘 내가 가진 ‘전문가로서 제공할 가치’를 하나 글로 써보고, 그 가치를 기반으로 단 하나의 브랜드 질문을 만들어보라.”
• 체크리스트:
1. 내가 제공할 수 있는 전문적 가치 1가지 키워드로 선정 (예: ‘AI 리터러시 교육’)
2. 그 가치가 ‘누구에게’ 어떤 결과를 주는지 한 문장으로 적기
3. 그 문장을 브랜드 질문 형태로 변환 (“내가 ___을 통해 ___에게 ___를 제공하는 브랜드인가?”)
4) 오늘의 한국어 인사이트
“브랜드의 영향력은 메시지의 명료함에서 시작된다.” -지식소통가 조연심
💬 From Blank to Brand! 당신의 이름이 브랜드가 되는 그 날까지 하루하나브랜딩으로 전하는 브랜드 성장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