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 브랜딩 4주차 후기: Define & Design Identity
(나만의 브랜드 정체성 설계하기)
퍼스널 브랜딩 수업 4주차는 “정체성을 정의하고 디자인하는 단계(2D: Define & Design Identity)”로 이어졌습니다. 지난 1~3주차를 통해 나를 탐색하고(Discover Myself), 브랜드 자산을 발견했다면, 이번 주차는 본격적으로 그 자산을 언어와 시각적 아이덴티티로 구체화하는 과정이었습니다.
퍼스널 브랜딩에서 정체성이 중요한 이유
사람들은 ‘정체성이 명확한 사람’을 더 잘 기억합니다.
브랜드의 방향성과 콘텐츠의 일관성을 만드는 것도 결국 정체성에서 시작되죠.
본질(내면)과 표현(외면)이 연결될 때, 비로소 신뢰를 얻을 수 있슺니다.
언어적 아이덴티티(Verbal Identity)
이번 주차에서는 나를 표현하는 언어적 아이덴티티를 설계했습니다.
이는 키워드·소개 문장·브랜드 톤앤보이스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1. 브랜드 키워드
• 나를 대표하는 짧은 단어 3개
• 가치·태도·강점이 함축된 단어로, 앞으로의 커뮤니케이션 기준이 됩니다.
• 예시: 창의적인, 실행하는, 감성적인
2. 시그니처 소개 문장
• 한 문장으로 나를 요약하는 브랜드 선언문
• 예시: “저는 실행력 있는 기획으로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실현시킵니다.”
3. 브랜드 톤 & 보이스
• 내가 세상과 소통할 때의 말투와 태도
• 예시: 명확하고 단호한 / 따뜻하고 유머러스한 /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기억할까?”라는 질문이 결국 핵심이에요.
시각적 아이덴티티(Visual Identity)
브랜드는 언어뿐 아니라 시각적 요소로도 일관성을 가져야 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대표 컬러·폰트/비주얼 스타일·콘텐츠 스타일을 설계했습니다.
1. 대표 컬러
• 감정과 인상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가장 빠른 수단
• 예시: 블루(신뢰, 지성) / 옐로우(창의성, 활기) / 퍼플(예술, 통찰)
2. 폰트 & 비주얼 스타일
• SNS 포스터, 발표자료, 콘텐츠 제작 시 기준이 되는 부분
• 예시: 고딕체+화이트톤 = 명확하고 전문적인 이미지
3. 콘텐츠 스타일
• 내가 만들어갈 글, 이미지, 영상의 일관성
• 예시: 감성적 에세이 + 카드뉴스 정리 콘텐츠 / 인터뷰 기반 스토리텔링
나만의 브랜드 설계도 완성하기
이번 수업에서는 위의 요소들을 한데 모아 BI(Brand Identity) 시트로 정리했습니다.
이 시트는 자기소개, SNS 프로필, 포트폴리오 어디에든 활용 가능한 나만의 브랜드 설계도가 됩니다.
• 브랜드 키워드 3개
• 브랜드 소개 문장(한 줄)
• 대표 컬러 & 이유
• 톤 & 보이스
소개 문장 만들기 실습
강의에서는 버전별 소개 문장도 연습했습니다.
• 기본형: “저는 지식이 브랜드가 되는 시대를 여는 지식소통가 조연심입니다.”
• 확장형: “저는 누구나 자신의 이름으로 살아갈 수 있는 시대를 만들기 위해, 지식을 삶과 연결하는 전략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지식소통가입니다.”
• 콘텐츠형: “정보는 AI에게 맡기고, 해석과 통찰은 사람에게 남겨야 합니다. 저는 지식을 퍼스널 브랜드로 확장시키는 구조화 전략가, 조연심입니다.”
이처럼 같은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더라도 상황과 타깃에 맞춰 다양한 버전으로 소개문을 다듬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3주차까지는 내가 가진 자산을 정리하는 과정이었다면, 이번 4주차는 그것을 보여줄 수 있는 언어와 이미지로 바꾸는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 어떤 브랜드로 기억될지, 어떤 톤과 스타일로 소통할지는 결국 내가 선택하고 설계해야 할 부분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다음 주차는 이 정체성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디지털 전환 단계(Digitalize)로 이어집니다. 내 브랜드를 온라인 콘텐츠로 확장하는 과정이 벌써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