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조연심 칼럼]"기억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 - 당신의 이름값이 0원인 진짜 이유

지식 칼럼/개인브랜드HOW

by 지식소통가 2025. 9. 23. 11:40

본문

728x90

이름값을 만드는 진짜 전략은 ‘기억 설계’에 있다

글 | 조연심 (지식소통가·퍼스널브랜딩 전략가)
당신은 지금 누군가의 기억 속에 있는가?

선택은 언제나 '기억 속'에서 시작된다. 사람들은 무언가를 사기 전에 먼저 떠올린다. '이럴 땐 누가 좋더라', '그 사람 책 좋았지', '그 강사 강의 기억나' 같은 생각이 스친다. 그리고 그 순간, 당신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당신은 이 시장에 없는 사람과 같다. 이름값은 '실력'의 문제가 아니다. '기억되는 사람'이 되는 것. 그것이 이름값의 시작이다.

뇌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과학은 냉혹하다. 사람의 뇌는 하루에 6만 가지 정보를 처리한다. 그런데 99%는 단기기억에 머물다 사라진다. 당신이 어제 본 광고, 스쳐간 얼굴들, 들었던 이름들. 대부분은 흔적도 없이 증발한다.

그럼 어떤 기억이 살아남는가?
감정과 연결된 기억만이 장기기억으로 이동한다. 단순한 정보 전달로는 안 된다.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여야 한다. 기억 속에 들어가려면 감정의 문을 두드려야 한다.
마케팅에서 말하는 브랜드 인지도도 결국 두 가지다. 재인은 "어, 이 사람 봤네"이고, 회상은 "아, 이럴 땐 이 사람이지"다. 기억되는 이름이 선택받는다. 그게 전부다.

이름값의 공식은 간단하다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다.
떠오름 + 보임 + 검색됨.
이 세 가지가 이름값을 만든다.

첫째, 떠오름이다.
특정 키워드를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 그게 바로 당신이어야 한다. '
퍼스널브랜딩' 하면 조연심, '마케팅' 하면 세스 고딘처럼. 키워드의 주인이 되어라. 3개 키워드를 정하고 최소 2년은 파라. 이것저것 손대면 아무것도 기억 안 된다.

떠오름(Top of Mind) 전략 ― 회상률 높이기
• 나만의 대표 키워드 3개를 반복 노출하라.
→ 예: ‘조연심 = 퍼스널 브랜딩, 기록, 실행력’
• 슬로건, 스토리, 감정 연결을 통해 떠오르게 만들어라.
→ “이름은 설명이 아니라 증거다.”
• 타인의 말 속에 들어가라.
사람들이 당신을 소개할 때, 한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둘째, 보임이다.
시각적으로 각인되어야 한다. 같은 얼굴, 같은 색깔, 같은 분위기로 어디서 봐도 당신임을 알게 하라. 월 2회 이상은 꾸준히 나타나라. 가끔 한 번씩 나타나는 건 없는 것만 못하다.

보임(Recognition) 전략 ― 재인률 높이기
• 콘텐츠 루틴 만들기
→ 매주 수요일, 나의 인사이트 카드뉴스
→ 월간 뉴스레터, 주간 브런치 글 등
• 시각적 언어 통일
→ 동일한 색상, 폰트, 사진 톤, 헤어스타일까지
• 짧고 강한 인상 남기기
→ 영상 첫 3초, 글의 첫 문장, 강의의 첫 사례

셋째, 검색됨이다.
디지털 증거를 쌓아라. 내 이름을 검색했을 때 첫 페이지에 최소 5개는 나와야 한다. 검색해도 남의 것만 나온다면 신뢰도는 제로다.

검색됨(Googleable Identity) 전략 ― 신뢰 자산화
• 검색어 최적화:
내 이름 +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콘텐츠 5개 이상 확보
• 콘텐츠의 백서화:
SNS에 흘려보내지 말고, 아카이빙 하라 (블로그, 브런치, 링크트인)
• 리뷰와 타인의 말:
인터뷰, 후기, 추천사, 공동 작업은 ‘검색되는 증거’가 된다

브랜드 연상(Association)을 구성하는 세 가지:
1. 호의성 – 좋은 이미지로 기억되는가?
2. 강력함 – 선명하고 확실하게 기억되는가?
3. 독특함 – 구별되고 다시 떠오르는가?

이름값이 강력해지려면
이 세 가지 연상도 구축되어야 한다.
• 호의성은 태도에서 오고,
• 강력함은 반복에서 나오며,
• 독특함은 일관된 정체성에서 탄생한다.

조연심이 10년간 1등인 이유
우연이 아니다. 조연심이 퍼스널브랜딩 분야에서 10년 넘게 탑오브마인드(Top of Mind)로 남아있는 이유가 있다.

- 일관성이다. 10년간 같은 키워드만 썼다. 브랜딩, 퍼스널브랜딩, 이름값. 이 키워드들을 절대 바꾸지 않았다.
- 다채로운 노출이다. 책도 쓰고, 강연도 하고, 브런치도 하고, 유튜브도 한다. 모든 채널에서 같은 메시지를 반복한다.
- 검색 독점이다. '퍼스널브랜딩'을 검색하면 1페이지를 거의 독점한다. 이건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 감정 연결이다.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개인의 성장 - 스토리와 연결했다. 사람들이 공감하고 기억한다.

당신이 망하는 이유 3가지
첫째, 키워드 난사다.
"저는 디자인도 하고 마케팅도 하고 강의도 해요."
전문성은 집중에서 나온다. 이것저것 다 한다고 하면 아무것도 기억 안 된다.

둘째, 일회성 노출이다.
한 달에 한 번씩 포스팅하고 "왜 안 알아봐주지?" 하면 당연하다. 기억은 반복에서 나온다. 꾸준함이 재능을 이긴다.

셋째, 검색 결과 방치다.
내 이름 검색해도 남의 것만 나온다. 디지털 시대에 검색 안 되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다.

지금 당장 시작하라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라. 3단계면 충분하다.
기억 감사부터 하라. 내 이름 검색해봐라. 내가 전문가로 인식되는 키워드 3개 써봐라. 최근 6개월간 누군가 나를 추천한 적 있나? 현실을 직시하라.

기억 설계를 하라. 키워드 3개 정하고 절대 바꾸지 마라. 월 2회 이상 콘텐츠 내라. 프로필 사진, 커버 이미지 통일하라. 일관성이 신뢰를 만든다.

기억 증폭을 하라. 내 이름 + 키워드로 최소 5개 콘텐츠는 만들어라. 남들 기억에 남을 스토리 준비하라. SEO도 신경 써라. 검색되지 않으면 의미 없다.

결론: 기억의 전쟁에서 살아남아라
실력이 뛰어나도 기억되지 않으면 선택받지 못한다. 사람들은 최고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을 선택한다. 기억은 선택의 출발점이다. 선택은 이름값의 증거다. 기억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오늘부터 모든 브랜딩 활동을 '기억 설계' 관점에서 다시 봐라.

이름값은 기억과 인식이 축적된 결과다.
좋은 사람이라는 평판만으로는 부족하다.
떠오르고, 보이고, 검색되는 이름만이
선택의 순간에 살아남는다.

당신의 이름값을 키우고 싶다면
기억을 설계하라.

기억은 선택의 전제고,
선택은 이름값의 증거다.

마지막 질문이다.
당신의 이름은 지금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떠오를 준비가 되어 있는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