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 & 퍼스널브랜딩 데일리 인사이트] 2025년 11월 21일 (금) 당신의 브랜드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매일 아침 뉴스레터

1) 퍼스널 브랜딩 인사이트
•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의 약 절반이 ‘강한 개인브랜드가 이력서보다 더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임원급에서는 그 비율이 61%에 달했다. (ContentGrip, 2025‑11‑06)
• 2025년 개인브랜딩 트렌드 분석에서는 ‘AI 도구 + 인간터치’가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OhhMyBrand 블로그, 2025‑05‑26)
• 브랜딩 전문 매체는 “기업보다 개인에게 더 신뢰를 주는 시대”라며, 개인브랜드가 기업 브랜드를 보완하는 위치가 됐다고 강조했다. (OhhMyBrand 블로그, 2025‑05‑26)
• “데이터 기반 브랜드화”, “개인화된 메시지”, “사회적 책임 포함 브랜드 스토리” 등이 2025년 브랜딩 분야의 주요 흐름으로 나타났다. (Ask Attest, 2025‑11‑05)
• 학술 연구에서는 개인브랜드 (Personal Brand Equity)를 정량화하고 측정하는 표준화 프레임워크 개발이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ResearchGate 논문, 2025‑10‑10)
2) 오늘의 책
『BrandingPays: The Five‑Step System to Reinvent Your Personal Brand』 / Karen Kang / Wiley, 2012
이 책은 개인브랜딩을 전략적 관점에서 재정비하는 방법을 다룬다. 핵심 주장은 “당신이 기억되고 인식될 때 브랜드가 된다”는 점이며, 차별점은 기업 브랜딩 모델을 개인용으로 변형했다는 데 있다.
실무 적용 포인트는 (1) 당신의 타겟과 해결가치를 정의하기, (2) 핵심 메시지를 단문으로 정리하기, (3) 브랜드 생태계(네트워크·콘텐츠·채널)를 설계하고 실행 로드맵을 작성하기이다. 한국어판 출간 여부는 미확인이다.
3) 오늘의 ‘하루하나 브랜딩’ 프롬프트
“오늘, 내 브랜드의 핵심 메시지를 한 문장으로 다시 작성하고 그 메시지를 기반으로 SNS 콘텐츠 주제 하나를 설계하라.”
• 체크리스트:
1. “나는 ○○을 해결한다” 형식으로 나의 고유 브랜드 메시지를 작성하기
2. 그 메시지를 듣는 대상 고객이 겪는 불편·고통을 두 가지 적기
3. 위 메시지에 대해 오늘 또는 이번 주에 제작할 콘텐츠(글·영상·SNS) 주제 정하고, 신뢰 구축을 위한 ‘사례 또는 피드백 유도 질문’ 하나 포함하기
4) 오늘의 한국어 인사이트
“브랜드는 한순간의 반짝임이 아니라, 매일 쌓아 올린 선택의 결과다.” - 지식소통가 조연심
💬 From Blank to Brand! 당신의 이름이 브랜드가 되는 그 날까지 하루하나브랜딩으로 전하는 브랜드 성장 프로젝트